굴을 먹어야 하는 이유
우리 몸의 면역력은 낮아지면 바이러스는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어 각종 감염질환에 걸리기 쉽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건강한 밥상으로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해 주는 것이 중요한데요 맛도 좋고 건강도 챙길 수 있는 음식으로는 굴이 있습니다.
굴은 갖가지 영양소가 아주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어 영양 보충에 제격인데요 굴은 그 종류가 세계적으로 무려 100여 종이나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참굴, 벚굴, 강굴, 바윗굴 등 10여 종이 수확, 양식되고 있습니다.
5월에서 8월 사이가 굴의 산란기이기 때문에 가을에 살이 오르기 시작해 11월부터 2월 사이가 가장 굴 맛이 좋은 시기입니다.
바다의 우유인 이유
굴이 '바다의 우유'로 불리는 이유는 굴에는 단백질 중에서도 필수아미노산과 칼슘 함량이 특히 높습니다.
뿐만 아니라 철, 아연, 구리, 망간 등 미네랄도 풍부하고 이중 철 성분은 혈액 속 헤모글로빈의 주요 성분으로 빈혈 예방에 도움을 주며 단백질을 합성하는 역할을 하는 아연은 남성호르몬 분비와 정자 생성을 촉진해 남성의 성기능 향상에 뛰어납니다.
아연은 비타민 B와 함께 섭취하면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또 굴에는 소화 흡수가 잘 되는 글리코겐 형태의 탄수화물도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화력이 약한 어린이나 노인에게 좋고, 칼로리와 지방 함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인기가 많은 식품인데요 비타민도 A, B, C 모두 풍부해 피부미용에도 도움이 됩니다.
굴은 그냥 먹으나 익혀 먹으나 영양분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그래서 회는 물론 국, 탕, 무침 등 다양한 음식에 활용됩니다.
굴을 회로 먹을 경우 레몬을 곁들여 먹곤 하는데 이는 레몬에 함유된 비타민 C(아스코르브산)가 철분의 체내 흡수를 돕기 때문으로 또 레몬의 구연산은 굴의 비린내를 잡아주고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도 합니다.
굴 먹는 방법
굴을 먹을 때는 주의가 필요하데요 일부 종류에는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의 매개체가 되기도 합니다.
노로바이러스는 열에 약하기 때문에 굴을 생식으로 먹기보다는 가열 조리해서 먹는 것이 안전하며 시중에 파는 껍질을 벗긴 굴 제품 중에 '가열 조리용' 또는 '익혀 먹는' 표시가 있는 제품은 반드시 85℃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 익혀 먹어야 합니다.
신선한 굴 고르는 방법
살짝 눌렀을 때 탄력이 있고 살 가장자리에 검은 테가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좋은 굴인데요 살이 희거나, 퍼져 있는 굴은 싱싱하지 않은 굴입니다.
가정에서 직접 조리할 경우 껍질을 깐 후 10분 정도 소금물에 담가 놓았다가 물에 헹구면 되고 레몬즙이 섞인 물이나 식초물에 담갔다 꺼내면 비린내를 잡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