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ET 2023. 10. 24.
강아지 분리 불안증 혼자서는 1분도 못 견딘다
사람도 펫도 생명을 가진 존재라면 자신만의 아지트에서 단 얼마간이라도 자기만의 독립된 시간을 가지고 싶어 하는 욕망을 가지는 것은 당연하고 또 그런 시간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분리 불안증에 시달리고 있는 강아지라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분리 불안증에 시달리고 있다면 혼자만의 시간은 '고통'과 '불안'의 연속이 될 뿐인데요 이런 강아지들은 단 20~45분만 지나고 심각한 반응을 보이기 시작합니다.분리불안의 고통어떤 강아지들은 편안하게 자기 지산을 즐기는데 비해 또 어떤 개들은 분리 불안으로 불안해합니다. 하지만 이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설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는데요 중요한 것은 가구를 망가뜨리고 집안을 더럽히는 행동이 단지 보호자가 자신을 혼자 남겨두고 나갔다는 것에 대한 보복심리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

PET 2023. 4. 14.
반려동물 영양제 스마트하게 고르기
우리나라 인구의 28%에 달하는 1,500만 명이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양육 가구가 늘어나면서 반려동물 시장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는데요 그중 제약 회사들도 예외는 아닙니다. 제약 회사들은 반려동물을 위한 자체 브랜드를 론칭하며 적극적인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제는 하나의 소중한 가족으로 인식되는 반려동물, 가족에게 주는 마음으로 꼼꼼하게 반려동물 영양제를 살펴보아야 할 시점입니다. 반려동물 영양제 필요한가? 영양제는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약물의 개념보다는 좀 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하는 것이 맞습니다. 반려동물이 섭취하기 어려운 성분을 자연스럽게 보조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을 말하는데 보조적인 개념이라 직접적인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꾸준히 복용시킨다면 질병의 관리나 예..

PET 2021. 5. 4.
골든 리트리버 퍼스트 반려견 성격 구별법 주의할점
퍼스트 반려견 골든 리트리버는 이름처럼 빛나는 황금빛 털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길도 윤기 있는 털이 아름다워 사랑을 받고 있는 견종중 하나인데요 리트리버의 어원인 '리트리브'라는 단어에는 '찾아서 물어오다'라는 뜻이 담겨 있습니다. 그 뜻대로 골든 리트리버는 오리 등 물가에 사는 새들을 찾아서 가져오는 역할을 주로 했는데 미국에 알려진 뒤 골든 리트리버는 반려견으로 사랑받는 견종이 되었습니다. 미국인들에게 이렇게 사랑받게 된 이유는 바로 금빛 털과 활발한 성격 때문인데요 하지만 길고 부드러운 털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빗질을 자주 해주지 않으면 털이 엉킬 수 있습니다. 또한 겨울에 추위를 견디기 위해 털이 많이 나고 더운 여름에는 털이 많이 빠지기 때문에 골든 리트리버의 털은 관리가 잘 되지 않..

PET 2020. 12. 27.
반려동물 유망직업 반려동물이 더 행복해 질 수 있도록 하는 일
반려동물 양육 인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Pet)을 가족(Family)처럼 여기는 '펫팸족(Petfam)'도 늘어나고 있는데 반려동물 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펫팸족 덕에 '반려동물 관련 직업'도 덩달아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시간에는 사람들과 어우러져 살아가는 반려동물 이 더 행복해질 수 있도록 열심히 일하는 반려동물 관련 유망 직업을 살펴보겠습니다. 수의사 반려동물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대표적입 직업은 바로 수의사일 것입니다. 수의사는 동물의 질병이나 상처 등을 예방, 진단하고 치료하는 일을 하고, 때로는 분만이나 수술 등을 진행하기도 합니다. 또한 병원 업무 외에도 각종 기관의 연구소에서 돼지콜레라, 조류독감 등과 같은 전염병 관련 역학조사를 하거나 생명공학분야의 연구를 통해 질병..

PET 2020. 9. 9.
개(반려견)와 고양이(반려묘)의 비만 관리법 비만에서 구출하라
반려동물 비만 반려동물도 인간과 같이 살다 보니 비만문제에서 벗어날 수가 없게 되었는데요 현재 미국 및 기타 유럽 국가에서도 비만은 가장 흔한 영양학적 장애로 보고 있습니다. 대게 성견의 24~34% 정도에서 비만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비만한 반려동물들이 늘다 보니 영국 리버풀에서는 영국 최초로 비만동물치료센터가 문을 열었는데 이는 700만 마리의 고양이와 800만 마리의 개가 있는 영국에서 이들의 40% 이상이 비만과 이에 따른 당뇨, 관절염에 걸려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반려동물 비만의 원인 비만에 관여되는 요소로는 내재성 원인과 외재성 원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제성 요소로는 나이, 성별, 생식상태, 호르몬 이상, 유전적 요인 등이 포함되고 외재성 요소로는 활동성의 정도, 음식유입의 외적영향, 사료..